건강기능식품은 소비자들에게 건강에 이로운 성분들을 제공하는 제품으로, 안전성 뿐만 아니라 기능성 역시 중요한 요소입니다. 일반식품과 달리 건강기능식품은 특정 기능성분 또는 지표성분을 확인하고 표준화하여 관리해야 합니다. 이러한 성분들은 제품의 안전성과 기능성을 확인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건강기능식품 기능성분 지표성분 정의
기능성분
원료 중에서 기능성을 나타내는 성분으로, 단일성분 또는 높은 함량으로 존재하여 기능을 나타냅니다. 즉, 제품이 가지고 있는 특별한 기능을 나타내는 물질입니다. 예를 들어 코엔자임큐텐, 루테인, 글루코사민, MSM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지표성분
원료 중에서 화학적으로 규명된 성분 중에서 품질관리의 목적으로 정한 성분입니다. 즉, 제조과정의 표준화를 관리하고, 원재료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데 사용되는 성분입니다. 예를 들어, 인삼과 홍삼에서 Rg1, Rb1, 쏘팔메토 열매추출물의 Lauric acid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기능성분의 선정과 표준화
기능성원료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능성을 선정한 후 이에 적합한 원료를 찾습니다. 이미 알려진 기능성분이나 원료 특유의 성분을 활용하거나, 새로운 활성성분을 추출 및 분획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얻은 기능성분은 표준화되어 제품의 일정한 기능성을 유지하기 위해 설정 및 관리됩니다.
기능성분을 선정하는 방법은 특이성, 대표성, 안전성, 용이성 등을 고려합니다. 특정 기능을 나타내거나 기능
에 관여하는 성분이어야 하며, 안전하고 사용이 편리한 성분이어야 합니다.
지표성분의 역할
지표성분은 제조과정의 표준화를 관리하고, 원재료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대표적인 성분들의 농도와 기능성 간의 상관성을 확인하여 제품의 안정성을 보장하고, 소비자에게 일정한 품질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기능/지표 성분 설정 방법
특이성: 특정 기능성을 나타내거나 차별적인 함량변이를 가진 성분을 선정합니다.
대표성: 기능을 대표하거나 기능에 관여하는 성분을 선택합니다.
안전성: 열, 빛, 습도 등의 보관조건에서 안전성이 높은 성분을 고려합니다.
용이성: 범융화된 분석기기를 활용하여 분석 가능하며, 상업적 표준 물질의 사용 여부와 분석비용을 고려합니다.
결론
건강기능식품에서의 기능/지표 성분 설정은 제품의 안전성과 일정한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소비자에게 안전하고 효과적인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 기능성분과 지표성분의 선택과 표준화는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를 통해 건강기능식품 산업은 보다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제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혈압, 고지혈증 피하는 방법 (0) | 2024.08.09 |
---|---|
혈당을 낮추는 7가지 방법 (0) | 2024.08.09 |
건강기능식품 제형의 설계 및 개발 (1) | 2023.11.21 |
건강기능식품의 제형 | 정제, 캡슐, 환, 과립, 액상, 분말 (2) | 2023.11.20 |
건강기능식품이란 일반식품 의약품 차이 제조업 판매업 신고 (0) | 2023.06.23 |